skip to the main content

친환경 차량 라이프 사이클 관리

기아는 설계, 생산, 물류, 폐기 등 전 단계에서 사람을 행복하게 하면서, 지구의 환경도 지킬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자동차를 만듭니다.

전과정평가(LCA)를 통한 탄소배출량 산정 및 감축 전략 수립

아는 전동화 상품 출시를 통해 차량 운행 과정의 탄소배출량을 제로(Zero)화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동차의 탄소배출량은 운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직접배출량 이외에도 원소재 채취, 부품 제작, 차량 조립, 에너지원의 생산, 정비, 폐기, 그리고 각 단계 사이의 수송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접 배출량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아는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를 수행함으로써 이를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환경영향을 정량화하고 있습니다. 전과정평가 결과를 통하여 각 단계별 영향을 분석하고, 개선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탄소 저감 전략을 수립합니다. 특히 EV9을 시작으로, 2023년부터 양산되는 모든 신차의 전과정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아의 LCA는 CML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구온난화(GWP), 자원소모(ADP), 산성화(AP), 부영양화(EP), 오존층파괴(ODP), 광화학산화물생성(POCP)을 포함한 다양한 영향범주에 대하여 전과정평가를 수행 중입니다. 2022년에는 기아 전차종 판매대수 대비 5.75%의 차종에 전 LCA를 수행하였습니다.
2023년 상반기 현재까지의 누적 LCA 비율은 약 28% 입니다. (전차종 판매대수 대비 연료 타입별 구분없이 차종별 대표차종 판매량 계산)

01. 설계

Design for environment

기아는 친환경 설계 시스템 및 화학물질 관리 시스템 운영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재활용률이 높은 차량을 개발함과 동시에 유해물질 배출 저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차량 개발 시스템

친환경 설계

(DfE: Design for Environment)

해체용이 설계 통합시스템

(DORISY: Design for Recycling Optimizing System)

유해물질 관리 체계

  1. 협력사 협력사 화학물질 분석
  2. 데이터 입력
  3. IMDS* IMDS 물질데이터 수집
    중금속 함유여부 확인
  4. 다운로드
  5. e-CMS* MAMS 물질데이터 축적
    화학물질 검색,
    통계 법규별 필터링
    • 환경법규 대응
    • 환경성 평가
    • 친환경 상품개발

* IMDS: International Material Data System, 국제재질정보시스템
** MAMS: Material Analysis & Management System, 차량부품재질분석시스템

02. 생산

Clean Production Flow

에너지와 천연자원을 비롯한 원재료의 투입량을 줄이고, 폐기물과 온실가스,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량도 줄이면서 제품의 생산량은 높이는 효율적 친환경 생산공정을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Input

수자원

6,755,826㎥

원재료

214,902 t

유해화학물질

0 t

에너지

14,900 TJ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대상물질

49,102 t

Outcome

프레스

차체

도장

조립

자동차 생산량
1,223,108대

Output

토양

폐기물 총 배출량 (192,247.1 t)
매립량 (10.6 t)

대기

온실가스 배출량 (731,000 tCO2-eq)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15.4 t)
VOCs (6,628.2 t)
TRI 대상물질 배출량 (49,102 t)

수역

총 방류량 (4,894,039㎥)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120 t)
토양 폐기물 총 배출량 (210,523 t)
매립량 (1,332 t)

Recycle
재활용 폐기물량: 197,547 t

* TRI 대상물질: 전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대상물질

03. 물류

Smart Logistics System

부품조달, 생산, 판매 등 전 영역에 걸쳐 최적화된 물류시스템 운영을 위해 전담조직을 갖추고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인 비용 및 에너지 절감은 물론 이산화탄소 배출까지 낮추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물류 협업 시스템

  • 실시간 납입지시 - 라인가동 현황 및 부품 사용실적 정보 제공
  • 부품업체 통합물류센터 - 실시간 부품 입고 및 차량 출입 관리
  • 부품 창고 - 적정재고 유지 (기존 대비 창고면적 축소)
  • 기아자동차 생산라인
  • 생산관리부서 - 생산공정별 부품 사용실적 자동 전송
04. 폐기

Resource Regeneration

기아는 2011년 환경부와 '폐자동차 자원순환체계 선진화를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뒤, 폐자원을 신차 제조에 재활용하는 자원순환 재활용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폐차 업체들 대상으로 차량 해체 매뉴얼 제공, 재활용 처리비용 지원 등을 통해 폐차 과정에서의 재활용 비율을 지속 향상시키고 있으며, 2024년까지 법정재활용률 95%를 달성할 계획입니다.

  1. 차종 및 제원 확인
  2. 폭발위험 부품 제거 (에어백, 시트, 프리텐셔너) - 폭발처리챔버
  3. 후드, 배터리, 타이어 제거
  4. 액상류 동시 회수 - 90% 이상 재회수하여 환경오염 방지
    - 액상류 회수 장치
  5. 외장류 해체
  6. 내장류 해체
  7. 엔진 및 변속기 해체 - 차체회전장치
  8. 압축

해체된 부품은 소재에 따라 분류하여 85% 이상 재활용

주요 차종** 평균 재활용 가능률: 90.4% (재회수 가능비율 96.8%)

* 폐차처리 시스템은 8개의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 공정이 연속 흐름 식으로 구성되어 대용량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승용, RV, 상용 차량 중 각 1개 차종 (프라이드, 스토닉, 봉고3) 중 대표모델 선정 수치이며 2019년부터 2022년 동일 수치

연/전비 및 배터리 개선

연비 테스트 공신력 강화

기아는 한국, 북미, 유럽, 중국, 인도 등 주요 판매국가의 연비 관련 법규를 준수하며, 연비 인증을 획득하고자 각 국가의 기준에 따라 연비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통제된 상황(온사이클)에서 실시하는 연비 및 배출가스 측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한국인정기구(KOLAS), 한국자동차연구원(KATECH) 등 외부 전문기관으로부터 연비 측정 시설을 점검받고 있습니다. 또한, 각종 국책 연구소 등과 공동으로 연비 테스트를 수행하여 연비 측정 결과의 공신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파워트레인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담당임원에게 연 1회 이상 온사이클 테스트 및 오프사이클 테스트 비교분석 결과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실도로(오프사이클) 연비 테스트

차량의 연비는 주행상황에서의 기어변속, 차량중량, 공조상태 등 내부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도로환경, 교통체증 등 외부적인 요인까지 다양한 변수가 작용합니다. 따라서, 기아는 다양한 요인이 통제된 상황(온사이클)에서의 연비 테스트와 더불어, 실제도로와 유사한 주행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오프사이클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제3자 기관 협업

기아는 연비 관련 실도로(오프사이클) 테스트 결과와 타 기관들의 연비측정 결과 간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EPA, J.D. Power, Consumer Reports 등 제3자 기관이 발표한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며, 유럽 시장에서는 Green NCAP, Auto Bild, Spritmonitor 등의 제3자 기관 데이터와 비교하고 있습니다. 각 국가별 제3자 기관과 연비 측정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당사 연비 테스트 결과의 공신력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전비 및 배터리 효율

기아는 높은 품질의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배터리의 상품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아 전기차 배터리는 배터리 성능 70~80% 도달 시 최대 25~30만km 주행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는 고객이 연간 2만km 주행 가정 시 12~15년 누적 사용이 가능합니다.

기아 EV 평균 전비

연도별 기아 EV 평균 전비
기준 단위 2019 2020 2021 2022
WLTP kWh/100 kilometers 15.8 15.5 15.4 15.9
EPA MPG-e 112 113 112 115
NEDC kWh/100 kilometers 14 12.9 12.8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