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 차량 라이프 사이클 관리
자동차를 만드는 모든 단계에 걸친 친환경 활동
친환경 차량 라이프 사이클 관리
기아는 설계, 생산, 물류, 폐기 등 전 단계에서 사람을 행복하게 하면서, 지구의 환경도 지킬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자동차를 만듭니다.
Design for environment
기아는 친환경 설계 시스템 및 화학물질 관리 시스템 운영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재활용률이 높은 차량을 개발함과 동시에 유해물질 배출 저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차량 개발 시스템
친환경 설계
(DfE: Design for Environment)
해체용이 설계 통합시스템
(DORISY: Design for Recycling Optimizing System)
유해물질 관리 체계

- 화학물질 분석
- 데이터 입력
-
중금속 함유여부 확인
물질데이터 수집 - 다운로드
-
화학물질 검색, 통계
법규별 필터링- 환경법규 대응
- 신속한 현황파악
- 친환경 상품개발
물질데이터 축적
* IMDS: International Material Data System, 국제재질정보시스템
** e-CMS: e-Chemical Management System, 화학물질관리시스템
Clean Production Flow
에너지와 천연자원을 비롯한 원재료의 투입량을 줄이고, 폐기물과 온실가스,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량도 줄이면서 제품의 생산량은 높이는 효율적 친환경 생산공정을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Input
수자원
6,168,016㎥
원재료
195,447 t
유해화학물질
0 t
에너지
13,600 TJ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대상물질
48,954.5 t
Outcome
프레스
차체
도장
조립
자동차 생산량
1,142,939대
Output
토양
폐기물 총 배출량 (192,247.1 t)
매립량 (10.6 t)
대기
온실가스 배출량 (674,000 tCO2-eq)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46.07 t)
VOCs (5,967.1 t)
TRI 대상물질 배출량 (2,388 t)
수역
총 방류량 (4,535,347㎥)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137 t)
* TRI 대상물질: 전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대상물질
Smart Logistics System
부품조달, 생산, 판매 등 전 영역에 걸쳐 최적화된 물류시스템 운영을 위해 전담조직을 갖추고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인 비용 및 에너지 절감은 물론 이산화탄소 배출까지 낮추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물류 협업 시스템

- 실시간 납입지시 - 라인가동 현황 및 부품 사용실적 정보 제공
- 부품업체 통합물류센터 - 실시간 부품 입고 및 차량 출입 관리
- 부품 창고 - 적정재고 유지 (기존 대비 창고면적 축소)
- 기아자동차 생산라인
- 생산관리부서 - 생산공정별 부품 사용실적 자동 전송
Resource Regeneration
2005년부터 운영 중인 자동차 재자원화센터는 이송식 7단계 해체 시스템을 갖추고 폐차의 친환경적인 해체와 재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폐차해체는 폐차등록, 타이어·배터리 사전처리, 액상류 제거, 범퍼 등 외장류 제거, 시트 등 내장류 제거, 엔진·변속기 등 제거, 차체 압축 단계로 진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해체효율성과 부품의 재자원화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개발한 기술은 양산부품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 차종 및 제원 확인
- - 폭발처리챔버 폭발위험 부품 제거 (에어백, 시트, 프리텐셔너)
- 후드, 배터리, 타이어 제거
-
- 90% 이상 재회수하여 환경오염 방지
- 액상류 회수 장치
액상류 동시 회수
- 외장류 해체
- 내장류 해체
- - 차체회전장치 엔진 및 변속기 해체
- 압축
해체된 부품은 소재에 따라 분류하여 85% 이상 재활용
* 폐차처리 시스템은 8개의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 공정이 연속 흐름 식으로 구성되어 대용량 처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