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진 체계
사람과 자연, 모두를 위한 약속
환경경영 추진체계
기아는 사람과 환경 중심의 기업문화 조성을 위하여 안전환경 관련 법규 준수, 안전환경 리스크 최소화, 환경오염 배출 최소화, 안전이 내재화 된 조직문화 형성 등 4대 안전환경 경영방침을 수립하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2025년까지 자율 안전환경 관리체계 구축을 중장기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고자 선진 안전환경 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사업장은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통합 인증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해외 전 사업장으로 인증 범위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자동차 생산공정의 물질 균형
기아는 친환경 생산 공정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와 천연자원을 비롯한 원재료의 투입량을 줄이고 폐기물과 온실가스,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량도 줄이면서 제품의 생산량을 높입니다. 이러한 효율적인 생산 공정을 통해 한 해 동안 투입된 자원(Input)과 배출된 물질량(Output), 그리고 창출한 가치(Outcome)를 집계하며 지속적으로 관련 성과를 파악하고 개선하고 있습니다.
Input
수자원
6,755,826㎥
원재료
214,902 t
유해화학물질
0 t
에너지
14,900 TJ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대상물질
49,102 t
Outcome
프레스
차체
도장
조립
자동차 생산량
1,223,108대
Output
토양
폐기물 총 배출량 (192,247.1 t)
매립량 (10.6 t)
대기
온실가스 배출량 (731,000 tCO2-eq)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15.4 t)
VOCs (6,628.2 t)
TRI 대상물질 배출량 (49,102 t)
수역
총 방류량 (4,894,039㎥)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120 t)
토양 폐기물 총 배출량 (210,523 t)
매립량 (1,332 t)
재활용 폐기물량: 197,547 t
* TRI 대상물질: 전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대상물질
탄소배출량 측정
기아는 모든 밸류체인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 자동차 산업 특성상 사용단계(차량 배출)에서 80% 이상으로 배출량이 가장 많으며, 공급망(부품조달), 생산과정(사업장)순으로 배출하고 있습니다.
탄소 배출 추이
* 2019년 배출량을 기준(=100)으로 하여 2020년 산출
환경 실천 활동
기아는 자동차의 설계부터 폐기되는 모든 단계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검증하고 개선하여 온실가스 및 에너지, 수자원, 폐기물, 대기오염 물질 등 환경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환경 인증 현황
- 자동차 업계 최초, 세계 3대 인증기관 중 DNV-GL (Korea)로부터 ISO 145001(안전보건)과 ISO 14001(환경) 통합인증 취득*
* 국내 사업장 대상 선구축, 2022년 글로벌 사업장 전체 적용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