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the main content

환경 경영 데이터

기아가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지구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 기업 활동을 친환경적으로 전환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와 에너지 사용량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2)

(1000 tCO2-eq)

연도별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2)
구분 2020 2021 2022
총 배출량(Scope 1&2) 1,144.80 1,139.10 1,166.80
직접 배출량(Scope 1) 359 365.2 379.9
국내 245.4 260.5 266
해외 113.6 104.7 113.9
간접 배출량(Scope 2) 785.8 774 786.9
국내 452.5 470.2 467.3
해외 333.3 303.8 319.6

온실가스 배출량(Scope 3)*

(tCO2-eq)

연도별 온실가스 배출량(Scope 3)
구분 2022
총 배출량(Scope 3) 72,975,453
제품 및 서비스 구매 13,736,281
자본재 투자 및 구매 2,545
Scope 1&2에 속하지 않는 연료 및 에너지 관련 99,271
사업장 발생 폐기물 30,796
임직원 출장 5,135
임직원 통근 277,552
운송과 유통 1,153,600
판매제품 사용 57,389,971
판매제품 폐기처리 188,991
투자 91,313

*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제출 기준

에너지 사용량

총 에너지 소비량(일반+재생)

연도별 에너지 소비량
구분 단위 2020 2021 2022
총계 MWh 3,535,198 3,725,562 3,794,321
국내 MWh 2,297,398 2,443,496 2,467,621
해외 MWh 1,237,800 1,282,066 1,326,700
총계 TJ 18,550 19,552 19,763
국내 TJ 14,093 14,936 14,987
해외 TJ 4,457 4,616 4,776

일반에너지 소비량(비재생에너지)

연도별 에너지 소비량
구분 단위 2020 2021 2022
총 소비량 MWh 3,418,669 3,585,908 3,652,972
총 소비량 TJ 18,130 19,049 19,254
국내 TJ 14,093 14,936 14,987
연료 TJ 4,777 5,112 5,221
전력 TJ 9,316 9,824 9,766
해외 TJ 4,037 4,113 4,267
연료 TJ 2,106 2,120 2,130
전력 TJ 1,931 1,993 2,137

재생에너지

연도별 에너지 소비량
구분 단위 2020 2021 2022
총 소비량 MWh 116,529 139,654 141,349
총 소비량 TJ 420 503 509

* 국내 전 Autoland 및 본사를 포함한 기타 부문의 에너지 사용량
** Autoland 부문: 광명, 화성, 광주 / 기타 부문: 본사, 서비스센터, 판매지점, 출하사무소, 오산연수원, 평택항만, 비전스퀘어

대기오염물질

먼지*

연도별 먼지 배출량
구분 2020 2021 2022
배출량(ton) 101.6 68.1 72.5
배출량집약도(ton/조원) 3.0 1.7 1.6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황산화물질(SOx)*

연도별 황산화물질(SOx) 배출량
구분 2020 2021 2022
배출량(ton) 3.0 1.4 3.5
배출량집약도(ton/조원) 0.09 0.03 0.08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질소산화물질(NOx)*

연도별 질소산화물질(NOx) 배출량
구분 2020 2021 2022
배출량(ton) 141.4 145.9 156.9
배출량집약도(ton/조원) 4.12 3.56 3.38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휘발성유기화학물질(VOCs)*

연도별 휘발성유기화학물질(VOCs) 배출량
구분 2020 2021 2022
배출량(ton) 5,967.1 6,628.2 6,413.3
배출량집약도(ton/조원) 173.65 161.74 73.55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수자원 및 수질오염물질

수자원(용수)

(㎥(ton))

연도별 수자원(용수)
구분 2020 2021 2022
총 취수량 6,168,016 6,755,826 7,006,517
상수 4,881,975 5,261,166 5,627,986
지하수 1,286,041 1,494,660 1,378,531
물 스트레스 High 지역 취수량* 1,368,645 1,498,253 1,633,092
상수 823,564 885,268 1,000,485
지하수 545,081 612,985 632,607
총 방류량 4,535,347 4,894,039 4,737,786
물 스트레스 High 지역 방류량* 1,250,442 1,384,872 1,409,389
총 사용량 1,632,669 1,861,787 2,268,731
물 스트레스 High 지역 사용량* 118,203 113,381 223,703
재사용량** - 324,138 516,424

* 국내 물 스트레스 High 지역 : AutoLand광명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AutoLand화성 (2021년 데이터부터 보고)

※ 물 스트레스란, 사용 가능한 수자원 대비 물 수요 비율을 뜻하며, 수치가 높을 수록(High) 물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지역을 뜻합니다.
물 스트레스 지역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툴로 세계자원연구소(WRI)의 Water Risk Atlas를 참조하였습니다.

COD*

연도별 COD 배출량
구분 2020 2021 2022
배출량(ton) 80.8 71.6 82.2
배출량집약도(ton/조원) 2.35 1.75 1.77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TOC*

연도별 TOC 배출량
구분 2020 2021 2022
배출량(ton) 50.5 44.7 51.4
배출량집약도(ton/조원) 1.47 1.09 1.11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BOD*

연도별 BOD 배출량
구분 2020 2021 2022
배출량(ton) 22.3 19.5 22.8
배출량집약도(ton/조원) 0.65 0.47 0.49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SS*

연도별 SS 배출량
구분 2020 2021 2022
배출량(ton) 8.9 8.7 7.7
배출량집약도(ton/조원) 0.26 0.21 0.17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기타(n-H, T-P, T-N)*

연도별 기타 배출량
구분 2020 2021 2022
총 배출량 (t) 47.4 39.8 37.8
대당 배출량 (g/대) 1.39 0.97 0.81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수자원 위험 및 기회

수자원 위험 및 기회
구분 내용 비고
지역 AutoLand 광주 -
리스크 유형 장기적인 물리적 환경변화 -
리스크 요인 강수량 부족 상황에 따른 공업용수 확보 리스크 기후변화로 인한 장기적인 물리적 환경변화로 인해 폭염 및 가뭄의 빈도가 더욱 잦아지며, 부품 및 제품 생산을 위한 공업용수 확보의 중요성이 점차 중요한 리스크로 평가
잠재 영향 판매량/생산량 감소로 인한 수익 감소 잠재영향 재무적 환산 수치: 208억원
(산출 근거: 지하수 재이용 불가 시 폐수 재이용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예상 투자 비용)
대응 전략 지하수 이용 및 상수도 절약 활동 대응 비용: 5,000만원
(산출 근거: 자재비, 인건비 등 직접 투자비)

원재료 사용량 및 폐기물

연도별 원재료 사용량 및 폐기물 사용량
구분 2020 2021 2022
총사용량(ton) 195,477.0 214,901.9 218.345.9
총사용집약도(kg/대) 171.0 175.7 172.4

철*

연도별 철 사용량
구분 2020 2021 2022
총사용량(ton) 175,981.7 193,865.8 195,570.7
총사용집약도(kg/대) 154.0 158.5 154.4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페인트*

연도별 페인트 사용량
구분 2020 2021 2022
총사용량(ton) 14,751.5 16,036.5 17,806.4
총사용집약도(kg/대) 12.9 31.1 14.1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시너*

연도별 시너 사용량
구분 2020 2021 2022
총사용량(ton) 4,743.9 4,999.6 4,968.8
총사용집약도(kg/대) 4.2 4.1 3.9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폐기물 발생량*

연도별 폐기물 발생량
구분 2020 2021 2022
총 발생량(ton) 194,247.0 210,532.0 199,934.0
일반폐기물 발생량(ton) 186,023.0 202,107.0 191,796.0
지정폐기물 발생량(ton) 8,224 8,425 8,138
폐기물 발생량 집약도(ton/조원) 5,563 5,138 4,308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폐기물 재활용량*



연도별 폐기물 재활용량
구분 2020 2021 2022
총 재활용량
(ton, %)**
184,190
(95%)
197,548
(94%)
187,594
(94%)
일반폐기물 재활용량(ton) 180,039 193,775 183,853
지정폐기물 재활용량(ton) 4,151 3,773 3,741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 2023년 총 재활용 비율 목표 : 95%

폐기물 처리량*

연도별 폐기물 처리량
구분 2020 2021 2022
총 처리량(ton)** 10,058 12,985 12,340
일반폐기물 처리량(ton) 5,984 8,333 7,943
소각(ton)*** 5,984 7,097 7,308
매립(ton) 0 1,236 635
지정폐기물 처리량(ton) 4,074 4,652 4,397
소각(ton)*** 4,063 4,556 4,376
매립(ton) 11 96 21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 2023년 총 배출 처리량 목표 : 12,662.42ton
*** 에너지 회수 미포함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사용량)

연도별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구분 2020 2021 2022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사용량, t) 0 0 0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사용량, kg/대) 0 0 0

화학물질

연도별 화학물질 배출량
구분 2020 2021 2022
총 배출량(ton) 49,103 53,551 53,447
총 배출량 집약도(ton/조원) 1,428.97 1,306.78 1,151.63

환경교육(2022)

환경교육(2022)
교육명 대상 인원 일시 목적
안전환경 직무(입문) 교육 안전환경 부문
신규 입사자
41 2022.11. 안전환경 부문 담당자의 원활한 업무 수행
정기안전보건 교육 전 임직원 26,944.00 2022.4. / 2022.10. 화학물질 안전 관리(유해화학물질, MSDS)
관련 임직원 인식 고취
스마트팩토리 안전환경 생산 관련
직무 임직원
20 2022.10. 안전환경 업무 및 리스크 관리,
안전환경 관련 주요 기술 동향
스마트팩토리 에너지(1차) 21 2022.7. 탄소중립, RE100, ESG 개념 및 당사 추진 방향, 에너지 데이터 활용/분석, 공정 에너지 효율화 방안
스마트팩토리 에너지(2차) 16 2022.7.

환경 투자 비용

(천원)

연도별 환경 투자 비용
구분 2020 2021 2022
계획 4,002,900 12,135,500 5,663,000
실적 4,109,156 12,081,759 7,886,400
집행률 (%) 102.7 99.6 139.3

환경 관리 비용

(천원)

연도별 환경 관리 비용
항목 내용 2020 2021 2022
환경부하 저감 직접비 작업환경개선 및 유지비 11,780,841 8,125,271 10,778,863
환경부하 저감 간접비 임직원 환경교육 및 환경심사비 2,044,529 2,256,565 2,158,881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폐기물 처리/매각비 5,521,720 6,238,141 6,219,872
환경리스크 관리비 환경법규 준수 및 사고예방 관련비 1,787 8,160 51,634
합계 19,348,877 16,628,136 19,209,250

녹색구매액

(천원)

연도별 녹색구매액
항목 2020 2021 2022
녹색 구매액 1,273,000 991,000 2,233,000

생물 다양성

기아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는 책임 있는 기업으로서 해양 생태계 보호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갯벌 식생복원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해양수산부와 협력하여 갯벌의 탄소 흡수력을 강화하기 위한 갯벌 생태계 복원 계획을 설계하고, 본격적 염생식물을 식재하도록 추진할 예정입니다.
그 외에도 임직원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플로깅 봉사활동을 통해 사업장 인근에 묘목 3,500그루를 기부하였으며 '해피무브 the Green' 봉사단을 통해 국립공원의 외래식물을 제거하고, 야생 동식물을 보호하는 등 생태환경 보존과 생물다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밖에도 사업장 건물 면적 증가에 따라 녹지면적도 확장하여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고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쾌적한 생산 현장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2000년부터 토양 오염 유발시설에 대해 철저히 관리하여 단 한 건의 오염물질 누출사고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지속적으로 점검 수준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생물다양성 리스크 평가

기아는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즈니스 영향 및 의존성 관련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생물다양성 리스크 분석을 시행합니다. 2023년에는 WWF의 BRF(Biodiversity Risk Filter)를 사용하여 글로벌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생물다양성 리스크 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사업장 위치, 산업군 정보, 사업적 중요도를 입력하여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을 기반으로 생물다양성 의존성 및 영향도를 분석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기아의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은 생물다양성 관련 평판 리스크는 낮은 수준이나 물리적 리스크 중 일부 지표들이 취약 리스크로 식별되었습니다. 사업장 소재 지역별로 정도의 차이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부정적 영향으로 인한 야생 동식물 개체수 감소의 위험 등의 물리적 리스크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기아는 지속적으로 사업장과 그 인근 지역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추진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다양한 친환경 개선활동을 추진할 것입니다.

※ 상기 환경 성과 이외의 자세한 정보는 Kia 2022 CDP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