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the main content

환경 경영 데이터

기아가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지구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 기업 활동을 친환경적으로 전환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와 에너지 사용량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2)

(1000 tCO2-eq)

연도별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2)
구분 2021 2022 2023
총 배출량(Scope 1&2) 1,139.1 1,166.9 1,130.9
직접 배출량(Scope 1) 365.1 379.9 354.0
국내 260.5 266.0 244.6
해외 104.7 113.9 109.3
간접 배출량(Scope 2) 774.0 787.0 776.9
국내 470.2 467.3 454.4
해외 303.8 319.6 322.6

온실가스 배출량(Scope 3)

(tCO2-eq)

연도별 온실가스 배출량(Scope 3)
구분 2023
총 배출량(Scope 3) 99,498,189
제품 및 서비스 구매1 17,176,301
자본재2 1,876
Scope 1 & 2에 속하지 않는 연료 및 에너지 활동3 185,811
업스트림 운송 및 물류4 4,952
운영과정 발생 폐기물2 60,863
출장2 11,066
통근2 47,932
업스트림 임차자산5 4,539
다운스트림 운송 및 물류6 1,311,642
판매된 제품의 사용7 79,327,632
판매된 제품의 폐기8 1,199,140
투자9 136,435

1. 원소재(철강,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의 배출계수를 글로벌 범용 LCI DB 사용 및 국내 일부 부품 협력사 Scope 1,2 배출량 포함(추후 협력사 범위 확대 예정)
2. 해외 사업장(KaGA, KaSK, KCN, KIN, KMX) 배출량 포함
3. 사용 에너지(전력, LNG, 휘발유, 경유 등)의 업스트림 배출량
4. 국내 생산사업장에 공급되는 부품 운송 및 물류 배출량
5. 해외 법인 중 임차자산의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배출량
6. 제품(완성차)의 운송과 물류 배출량
7. 주행거리 20만km 적용기준 배출량(기존 15만 km)* 차량 운행 시 필요한 에너지(유류/전기)의 Well to Tank 배출량은 제외함
8. 재활용/소각/매립 배출량의 총합
9. 20~50%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회사의 Scope1,2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총 에너지 소비량(일반+재생)

연도별 에너지 소비량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총계 MWh 3,684,535 3,794,359 3,637,639
국내 MWh 2,443,496 2,467,659 2,322,506
해외 MWh 1,241,039 1,326,700 1,315,133
총계 TJ 19,405 19,763 19,036
국내 TJ 14,937 14,987 14,301
해외 TJ 4,468 4,776 4,734

대기오염물질

먼지*

연도별 먼지 배출량
구분 2021 2022 2023
배출량(ton) 68.1 71.6 65.6
배출량집약도(ton/조원) 1.7 1.5 1.1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황산화물질(SOx)*

연도별 황산화물질(SOx) 배출량
구분 2021 2022 2023
배출량(ton) 1.5 6.1 19.9
배출량집약도(ton/조원) 0.0 0.1 0.3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질소산화물질(NOx)*

연도별 질소산화물질(NOx) 배출량
구분 2021 2022 2023
배출량(ton) 145.9 155.2 127.5
배출량집약도(ton/조원) 3.6 3.3 2.7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수자원 및 수질오염물질

수자원(용수)

(㎥(ton))

연도별 수자원(용수)
구분 2021 2022 2023
총 취수량 6,755,826 7,006,517 6,343,388
물스트레스 High 지역 취수량* 5,261,166 5,627,986 5,040,540
총 방류량 4,894,039 4,737,786 4,645,326
물스트레스 High 지역 방류량 1,384,872 1,409,389 1,279,843
총 사용량 1,861,787 2,268,731 1,698,062
물스트레스 High 지역 사용량* 113,381 223,703 141,919
재사용량** 292,636 324,827 269,342

* 물 스트레스 High 지역(국내) : AutoLand광명
** 데이터 산정 범위 : AutoLand화성

※ 물 스트레스란, 사용 가능한 수자원 대비 물 수요 비율을 뜻하며, 수치가 높을 수록(High) 물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지역을 뜻합니다.
물 스트레스 지역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툴로 세계자원연구소(WRI)의 Water Risk Atlas를 참조하였습니다.

COD*

연도별 COD 배출량
구분 2021 2022 2023
배출량(ton) 71.6 82.2 67.4
배출량집약도(ton/조원) 1.8 1.8 1.2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TOC*

연도별 TOC 배출량
구분 2021 2022 2023
배출량(ton) 44.7 51.4 42.1
배출량집약도(ton/조원) 1.1 1.1 0.7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BOD*

연도별 BOD 배출량
구분 2021 2022 2023
배출량(ton) 19.5 22.8 14.8
배출량집약도(ton/조원) 0.5 0.5 0.3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SS*

연도별 SS 배출량
구분 2021 2022 2023
배출량(ton) 8.7 7.7 10.4
배출량집약도(ton/조원) 0.2 0.2 0.2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수자원 위험 및 기회

수자원 위험 및 기회
구분 내용 비고
지역 AutoLand 광주 -
리스크 유형 장기적인 물리적 환경변화 -
리스크 요인 강수량 부족 상황에 따른 공업용수 확보 리스크 기후변화로 인한 장기적인 물리적 환경변화로 인해 폭염 및 가뭄의 빈도가 더욱 잦아지며, 부품 및 제품 생산을 위한 공업용수 확보의 중요성이 점차 중요한 리스크로 평가
잠재 영향 판매량/생산량 감소로 인한 수익 감소 잠재영향 재무적 환산 수치: 208억원
(산출 근거: 지하수 재이용 불가 시 폐수 재이용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예상 투자 비용)
대응 전략 지하수 이용 및 상수도 절약 활동 대응 비용: 5,000만원
(산출 근거: 자재비, 인건비 등 직접 투자비)

원재료 사용량 및 폐기물

연도별 원재료 사용량 및 폐기물 사용량
구분 2021 2022 2023
총사용량(ton) 267,208.3 267,267.7 281,528.8
총사용집약도(kg/대) 218.5 211.0 208.1

* 주요 원재료(철, 시너, 페인트, 알루미늄)

폐기물 발생량*

연도별 폐기물 발생량
구분 2021 2022 2023
총 발생량(ton) 210,532 199,934 231,938
일반 202,107 191,796 222,292
지정 8,425 8,138 9,646
발생량 집약도(ton/조원) 5,138 4,308 3,963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폐기물 재활용량*



연도별 폐기물 재활용량
구분 2021 2022 2023
총 발생량(ton) 197,548 187,594 216,537
일반 193,775 183,853 212,111
지정 3,773 3,741 4,427
발생량 집약도(ton/조원) 93.8 93.8 93.4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폐기물 처리량*

연도별 폐기물 처리량
구분 2021 2022 2023
총 처리량(ton) 12,985 12,340 15,401
일반 8,333 7,943 10,181
소각(에너지 회수 미포함) 7,097 7,308 9,736
매립 1,236 635 445
지정 4,652 4,397 5,219
소각(에너지 회수 미포함) 4,556 4,376 5,110
매립 96 21 109

* 데이터 산정 범위 : 국내

화학물질

연도별 화학물질 배출량
구분 2021 2022 2023
화학물질 배출량 집약도(ton/조원) 63.8 57.6 36.2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집약도(kg/대) 0.0 0.0 0.0

환경교육

환경교육
교육명 대상 인원 일시 목적
안전환경
직무(입문) 교육
안전환경부문
신규 입사자
172 2023.01~02
/ 2023.06
안전환경 부문
담당자의 원활한 업무 수행
정기안전보건
교육
전 임직원 26,745 2023.04
/ 2023.09
화학물질 안전 관리(유해화학물질, MSDS) 관련
임직원 인식 고취
스마트팩토리
- 안전환경관리
생산 관련
직무 임직원
47 2023.08 안전환경 업무 및 리스크 관리,
안전환경 관련 주요 기술 동향
스마트팩토리
- 에너지관리
40 2023.08 탄소중립,
RE100 ESG 개념 및 당사 추진 방향,
에너지 데이터 활용/분석,
공정 에너지 효율화 방안

생물 다양성

기아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는 책임 있는 기업으로서 해양 생태계 보호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갯벌 식생복원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해양수산부와 협력하여 갯벌의 탄소 흡수력을 강화하기 위한 갯벌 생태계 복원 계획을 설계하고, 본격적 염생식물을 식재하도록 추진할 예정입니다.
그 외에도 임직원 봉사활동을 통해 국내외 사업장 인근 지역의 쓰레기를 수거하고, 산림 정화활동을 하는 등 생태환경 보존과 생물다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업장 건물 면적 증가에 따라 녹지면적도 확장하여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고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쾌적한 생산 현장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생물다양성 리스크 평가

기아는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즈니스 영향 및 의존성 관련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생물다양성 리스크 분석을 시행합니다. 2023년에는 WWF의 BRF(Biodiversity Risk Filter)를 사용하여 글로벌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생물다양성 리스크 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사업장 위치, 산업군 정보, 사업적 중요도를 입력하여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을 기반으로 생물다양성 의존성 및 영향도를 분석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기아의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은 생물다양성 관련 평판 리스크는 낮은 수준이나 물리적 리스크 중 일부 지표들이 취약 리스크로 식별되었습니다. 사업장 소재 지역별로 정도의 차이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부정적 영향으로 인한 야생 동식물 개체수 감소의 위험 등의 물리적 리스크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기아는 지속적으로 사업장과 그 인근 지역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추진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다양한 친환경 개선활동을 추진할 것입니다.

※ 상기 환경 성과 이외의 자세한 정보는 Kia 2023 CDP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