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the main content

주요 성과 (2024)

기아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과 다양한 연령층, 성별과 관계없이 개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직원들이 자신의 생각을 소신있게 펼치며, 새로운 방식에 대한 과감한 시도를 주저하지 않는 기업 문화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공정한 기회와 폭넓은 다양성, 업무 고효율 스마트워크 등 다양한 지원이 이뤄집니다.

1,067

신규채용

23.9 % 증가

여성 관리자

21.8

평균 근속연수

* 국내 기준
* 여성 관리자는 임원, 일반직 책임매니저, 연구직 책임연구원, 법무직 선임변호사에 해당

임직원

연도별 임직원
구분 2022 2023 2024
총 임직원 수 35,501 35,847 35,747
고용형태별 정규직 34,562 34,260 33,203
비정규직 939 1,587 2,544
성별 남성 34,082 34,335 33,955
여성 1,419 1,512 1,792
연령별 만 30세 미만 1,017 2,160 3,015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12,976 14,077 12,884
만 50세 이상 21,508 19,610 19,848

* 국내 기준

임직원 교육 현황

교육 프로그램 지원

기아는 직무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중심의 새로운 가치와 비즈니스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고 있습니다. 모빌리티, DT/AI, 전문직무, Biz. Skill 교육을 포함해서 학습동아리(러닝랩), 온라인 콘텐츠 개발/큐레이션, 사외교육(구독서비스 포함) 등 구성원이 원하는 콘텐츠와 방법에 맞게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세부 교육 지표
구분 2022 2023 2024
총 교육 인원(명) 34,260 33,225 32,806
총 교육 건수 176,796 308,794 391,338
총 교육 시간 1,238,622 1,575,895 1,766,358
총 교육투자 예산(억원) 109.6 176.6 272.6
인당 교육시간 36.2 47.4 53.8
인당 교육비(천원) 320 531 831

임직원 역량 강화

기아는 임원부터 신규입사자까지 직급별, 부문별로 필요한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사적인 교육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아의 비전 ‘Sustainable Mobility Solutions Provider’를 달성하는 인재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모빌리티 아카데미와 현업에 즉시 적용 가능한 스킬 기반의 Skill-up 아카데미 등 전사 직무 아카데미 체계 개편을 통해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래 비즈니스 역량 강화
과정명 육성 방향 주요 프로그램
리더십 브랜드·고객 중심의 기업가형 리더 육성 Inspiring 코칭 프로그램, 신임 팀장 온보딩 등
온보딩 기아인으로서 안착할 수 있는 단계적 온보딩 프로그램 온보딩 Step1 ‒ Step5
직무 직무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 중심의 새로운 가치와 비즈니스 창출이 가능한 ‘통섭형’ 인재 육성 모빌리티 아카데미, Skill-up 아카데미
전사공통 법정교육 등 전사 대상의 필수 교육 과정 운영 장애인 인식 개선, 퇴직예정자 교육 등
기타 자발적 모임을 통한 구성원 주도 학습 러닝랩, 어학교육 등

채용 및 경력개발

기아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신기술, 신사업 분야 인재를 지속 채용 중입니다. 또한, 고도의 숙련된 기술과 경험을 보유한 퇴직직원들을 대상으로 "배테랑"제도를 운영함으로써 회사는 퇴직직원들의 전문성을 지속 활용하고 퇴직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커리어 전환을 위하여 전직을 희망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재취업프로그램 및 생애주기에 따른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조직 외부로의 커리어 전환 뿐만 아니라 조직내에서 직군 전환과 같이 새로운 커리어로의 전환을 희망하거나 사업변화에 따라 수행직무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소정의 재교육과정을 거쳐 직무를 전환하는 제도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채용 현황

(단위: 명)

채용 현황
구분 2022 2023 2024
신규채용 인원 수 901 836 1,067
성별 남성 743 627 891
여성 158 209 176
연령별 만 30세 미만 545 527 562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305 276 437
만 50세 이상 51 33 68

* 국내 기준

장애인 고용 현황

(단위: 명)

장애인 고용 현황
구분 2022 2023 2024
총 인원 1,200 1,066 1,104
장애인 고용 비율(%) 3.51 3.25 3.30

* 국내 기준

평균 근속연수

(단위: 년)

평균 근속연수
구분 2022 2023 2024
평균 근속연수 22 22 22

* 국내 기준

복리 후생

휴가

· 직급에 따른 휴가 제공
(관리자급 승진 인원 '프로드림' 휴가 등)
· 여직원 유급 보건휴가 부여
· 전직원 하기휴가 추가 제공 등

건강지원 제도

· 일반 검진 의무화
· 만 40세 이상 직원 추가 검진
· 온/오프라인 심리상담센터

가정생활 균형

· 육아휴직
· 근로시간 단축
· 난임휴가 지원
· 수유시간 부여

육아휴직 현황

(단위: 명)

연도별 육아휴직 현황
구분 2022 2023 2024
육아휴직 사용 전체 141 136 207
남성 93 90 134
여성 47 46 73
육아휴직 후 업무 복귀 전체 132 134 137
남성 87 89 97
여성 45 44 40

* 국내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