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the main content

주요 성과

기아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과 다양한 연령층, 성별과 관계없이 개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직원들이 자신의 생각을 소신있게 펼치며, 새로운 방식에 대한 과감한 시도를 주저하지 않는 기업 문화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공정한 기회와 폭넓은 다양성, 업무 고효율 스마트워크 등 다양한 지원이 이뤄집니다.

477

신규 채용

29 % 증가

여성관리자 비율
(전년 대비)

22.1

근속연수

* 국내 기준
* 여성 관리자는 일반직 책임 매니저, 연구직 책임 연구원, 법무직 선임 변호사에 해당

임직원

연도별 임직원
구분 (명) 2019 2020 2021
국내 35,469 35,115 35,453
해외 16,979 16,774 16,522
노동조합 가입 비율 84.9% 83.9% 81.3%
합계 52,448 51,899 51,975

지역별 임직원 현황

연도별 지역별 임직원 현황
구분 (명) 2019 2020 2021
(비중)
국내 35,469 35,115 35,453
(68.2%)
미국 3,075 3,169 3,288
(6.3%)
멕시코 2,339 2,362 2,243
(4.3%)
유럽 5,059 4,861 4,881
(9.4%)
중국 4,824 4,613 4,317
(8.3%)
기타 1,682 1 1,793
(3.4%)
합계 52,448 51,899 51,975
(100%)

* 산학인원, 아르바이트 등의 인원은 포함하지 않음

여성 임직원 현황 (추이)

연도별 여성 임직원 현황 (추이)
구분 (명) 2019 2020 2021
여성 임직원 수 1,259 1,316 1,420
관리직 수 117 146 188

* 국내 기준
* 여성 관리자는 일반직 책임매니저, 연구직 책임연구원, 법무직 선임변호사에 해당

관리자 현황 (국적별)

관리자 현황 (국적별)
구분 총 인원 (비율) G3 이상 인원 (비율)
국내 35,435 (99.949%) 4,894 (99.67%)
미국 5 (0.014%) 5 (0.10%)
캐나다 4 (0.011%) 3 (0.06%)
뉴질랜드 2 (0.005%) 2 (0.04%)
프랑스 1 (0.003%) 0 (0)
스위스 1 (0.003%) 1 (0.02%)
벨기에 1 (0.003%) 1 (0.02%)
스페인 1 (0.003%) 1 (0.02%)
포르투갈 1 (0.003%) 1 (0.02%)
일본 1 (0.003%) 1 (0.02%)
대만 1 (0.003%) 1 (0.02%)
합계 35,453 (100%) 4,910 (100%)

* 2021년 국내 기준

임직원 교육 현황

교육 프로그램 지원

기아의 정직원들은 스스로 수립한 성장목표에 따라 체계적으로 구축된 사내 교육을 수강할 수 있으며, 사내 학습동아리뿐만 사외 교육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해당팀의 성격 및 개인의 필요성에 맞추어 필요시 회사 지원을 통해 자격증 취득이 가능합니다. '21년 기준으로 인당 사외 학습과정 지원 금액은 100만원이며, 필요시 품의를 통해 상향될 수 있습니다.

세부 교육 지표
구분 2019 2020 2021
총 교육투자 예산 107.5억 원 78.4억 원 105.4억 원
인당 교육비 303천 원 223천 원 297천 원
인당 교육시간 32시간 2시간 33시간
총 교육 인원 수 114,130명 102,327명 109,382명
구성원 성장 제도 시행율 - 83.5% 90.0%
  • 인당 교육비 = 총 교유예산 ÷ 국내 임직원 수
  • 총 교육시간(MH) = (과정별 인원 × 과정별 시간)
  • 인당 교육시간 = 총 교육시간(MH) ÷ 국내 임직원 수

* 2020년 부터 핵심 관리 지표(KPI) 변경: 新성장 제도 도입에 따른 '구성원 성장제도 시행율' (역량향상계획 수립 인원수 / 전체 성장제도 대상자)

직무별 교육 프로그램

모빌리티 아카데미

기아는 2021년 Mobility Academy 체계를 수립하였으며 Data Translator, Mobility Pioneer 등 총 10개 과정, 23차수를 운영하였습니다. 2022년에는 총 21개 과정 운영을 목표로 구성원들에게 미래 핵심역량을 내재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신사업부터 스마트팩토리, 데이터, 디지털 마케팅, 모빌리티 트렌드까지 사외 강사들로 구성되어

산학협력 : 보전/금형 기술 아카데미

기아는 양질의 교육기회 제공과 우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와 업무협약을 맺고 산업계 후원-교육기관 운영형태로 ‘21년부터 약 150명 대상으로 매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보전, 금형 기술을 배양하는 전문 기술 교육 프로그램으로 최종 선발된 인원은 약 5개월(21주)간 온라인 교육과 현장 이론 및 실습 교육을 병행한 교육 전 과정을 무상으로 지원받습니다.

자격증 취득 지원

기아는 사내 교육장/실습장 지원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전기기능사 등 국가 자격증 취득 프로그램 지원하고 있으며 ‘20~’21년 총 570명 참여하여 183명이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리더십 교육

1. 주요 학습 및 개발 내용

  • 비즈니스 차원: 방향 제시, 목표 설정, 성과 관리
  • 조직 개발 차원: 자원 확보, 팀워크 형성, 협업 촉진
  • 구성원 성장: 학습 촉진, 경험 부여, 경력 개발

2. 커리큘럼 구성

  • 역할 강화 프로그램: 리더 역할을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역할 강화 프로그램(신임팀장 온보딩, 신임실장 과정, 신임 현장관리자 과정 등)
  • 트렌드 업데이트 프로그램: 최신 비즈니스 트렌드 및 내외부 경영 환경과 관련한 학습(Forum Kia, 인사이트 포럼, 미래역량강화 프로그램 등)
  • 진단 개발 프로그램: 진단 도구 활용(리더십 다면진단, 조직문화 진단, Culture Survey 등) 1:1 맞춤형 심화 프로그램

3. 리더십교육 성과

  • 리더십프로그램을 통해 리더 역할 수행 지원 및 기아 리더십 파이프라인 강화
  • 보직자(팀장, 부서장 이상 임원) 약 470명 대상 리더십 프로그램 운영
  • 비보직자 우수인재 약 240명 대상 우수인재 프로그램 운영

리더십 교육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비즈니스, 조직개발, 구성원 성장 관점으로 약 7개의 리더십 교육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1년 교육 내용

2021년 교육 내용
과정명 교육내용 교육대상 교육시간 교육인원
기아현대 Top Leader 기술혁신 등 외부 환경변화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연결점 탐색 본부장이상 20 8
인사이트포럼 시의성있는 주제관련 전문가의 인사이트 공유 (경영/경제, 국제정세, 기술변화 등) 전무이상 2 80
리더스러닝랩 경영 및 기술관련 자발적 소규모 학습모임 (모빌리티, 디지털경제, 메타버스, MZ 세대) 실장이상 20 20
기아현대 Top Leader 기술혁신 등 외부 환경변화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연결점 탐색 본부장이상 20 8
임원역량향상 데이터기반 의사결정과정 심화 워크숍 (데이터 리더십, 사례학습 등) 실장이상 11 7
실장기본 자기인식, 실장역할수행(Envisining/Engagement/Empowerment) 신임실장 22 23
코칭리더십 코칭리더십 발현을 위한 코칭스킬 습득, 강점진단을 통한 자기인식 팀장이상 45 12
LSV(리더십 다면진단)
디브리핑
LSV 이해/활용, 리더십 개발 계획 수립 팀장이상 3 62

다양한 계층에서의 리더십 계발 교육

고용

기아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신기술, 신사업 분야 인재를 지속 채용 중입니다. 또한, 고도의 숙련된 기술과 경험을 보유한 퇴직직원들을 대상으로 "배테랑"제도를 운영함으로써 회사는 퇴직직원들의 전문성을 지속 활용하고 퇴직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커리어 전환을 위하여 전직을 희망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재취업프로그램 및 생애주기에 따른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조직 외부로의 커리어 전환 뿐만 아니라 조직내에서 직군 전환과 같이 새로운 커리어로의 전환을 희망하거나 사업변화에 따라 수행직무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소정의 재교육과정을 거쳐 직무를 전환하는 제도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채용 현황 (국내)

(단위: 명)

채용 현황 (국내)
구분 2019 2020 2021
신규채용 임원 수 426 300 600
연령별 20~29세 226 168 374
30~39세 92 82 168
40~49세 43 27 42
50세 이상 65 23 16
성별 남성 335 247 491
여성 91 53 109
지역별 본사 113 121 240
광명 90 24 71
화성 91 43 118
광주 23 27 53
남양연구소 7 3 5
기타 122 82 113
국적별* 한국 420 297 595
미국 - 1 2
중국 1 - -
인도 - - -
기타 5 2 3
내부 충원 비율 31% 21% 28%

* 국적별 채용 현황 2021년도부터 집계

장애인 고용 현황

(단위: 명)

장애인 고용 현황
구분 2019 2020 2021
총 인원 1,244 1,194 1,167
장애인 고용 비율 (%) 3.70 3.50 3.51

퇴직 현황

(단위: 명)

퇴직 현황
구분 2019 2020 2021
연령별 20대 48 49 38
30대 41 49 64
40대 50 54 41
50대 542 832 66
60대 이상 28 28 838
성별 남성 682 974 1,005
여성 27 38 42
합계 709 1,012 1,047
총 이직률 (%) 2.0 2.9 3.0
자잘적 이직률 (%) 0.4 0.4 0.3

복리 후생

휴가

· 직급에 따른 휴가 제공
(ex. 관리자급 승진 인원 '프로드립' 휴가 등)
· 여직원 유급보건휴가 부여
· 전직원 하기휴가 추가 제공 등

근로환경

· 재택근무 도입
· 원격근무를 위한 거점 오피스 인프라 구축
· 선택적 근로시간제 운영
· 재택교육(Home Learn) 운영 등

가정생활 균형

· 육아휴직
· 근로시간 단축
· 난임휴가 지원
· 수유시간 부여

복리후생비

연도별 복리후생비
구분 2019 2020 2021
총 비용 (억 원) 6,093 6,191 6,220
인당 복리후생비 (백만 원) 18 18 18

육아휴직 현황*

(단위: 명)

연도별 육아휴직 현황
구분 2019 2020 2021
남성 67 94 93
여성 55 54 61
복귀율 (%) 98 97 99

* 국내 임직원 기준
* 육아휴직자 집계기준: 해당연도에 육아휴직일수가 1일 이상인 인원
* 복귀율 집계기준: 해당연도 육아휴직 복귀대상 인원

임직원 급여 지급 현황(2021년)

(단위: 백만원)

2021년 임직원 급여 지급 현황
구분 1인 평균 급여액
남성 102
여성 79
전체 임직원 101

* 국내 임직원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