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the main content

안전환경 미션

사람과 환경을 먼저 생각하며
안전문화의 가치를 창조하는 활동이 우리의 일상이 되게 한다.

비전

안전환경 비전 2025 로드맵에 따라 2025년까지 ‘자발적 참여’ 수준의 안전환경 체계를 갖추겠습니다.

안전환경 기본 원칙

우리는 안전환경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모든 의사결정시 안전환경 관점을 고려합니다.
우리는 함께 일하는 모든 사람들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 가치로 생각한다.
우리는 안전과 환경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협력사와 동반성장을 추가한다.

안전환경 방침

1. 안전환경 관련 법규 준수

글로벌 요구수준에 부합하는 안전환경 체계를 갖추며, 법규 준수 및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최우선적으로 충족시킨다.

2. 인전환경 리스크 최소화

임직원들이 즐겁게 일의 가치를 창조하며, 고객에게 행복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구축한다.

3. 환경오염물질 배출 최소화

모든 생산 영역에서 에너지와 자원 투입을 최적화 하고, 친환경 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환경오염 배출이 최소화 되도록 노력한다.

4. 안전에 내재화된 조직문화

보다 안전한 일터를 위해 임직원 스스로 위협 요소를 발굴하여 능동적으로 개선하는 성숙한 안전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안전환경 경영시스템

기아는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 제공 및 안전문화 확산을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당사 및 협력사 임직원의 건강을 증진시킴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고 경영층의 안전보건 리더십을 바탕으로 안전환경경영시스템(ISO) 기반의 자율안전관리 체계를 정착해나감으로써 안전보건 지속가능경영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산업재해 발생 추이

연도별 국내외 산업재해 발생 추이
구분 2020 2021 2022
재해건수 (건) 313 417 388
재해율 (%) 0.62 0.85 0.77

국내외 산업재해 발생현황(2022년)

(단위: 건, %)

국내외 산업재해 발생현황(2021년)
구분 재해 건수 (건) 재해율 (%)
AutoLand 광명 82 1.32
AutoLand 화성 177 1.34
AutoLand 광주 112 1.49
Autoland외 (본사, 판매, 서비스) 10 0.57
해외 7 0.26
합계 388 0.996

* 해외 : Autoland 조지아 (KaGA)

산업 재해율

사고성 산업재해율(LTIFR*)

연도별 사고성 산업재해율(LTIFR)
구분 2019 2020 2021
임직원 1.42 1.59 1.70
계약직 4.66 3.78 3.78

* LTIFR(사고성 산업재해율) = 12개월 기간 중 발생한 사고성 산업재해 건 수/동일한 12개월 기간 동안 모든 직원이 근무한 총 시간(인원수*8시간*5일*50주)×1,000,000

질병성 산업재해율(OIFR*)

질병성 산업재해율(OIFR)
구분 2019 2020 2021
임직원 1.75 1.75 2.62

* OIFR(질병성 산업재해율) = 12개월 기간 중 발생한 질병성 산업재해 건 수/동일한 12개월 기간 동안 모든 직원이 근무한 총 시간(인원수*8시간*5일*50주)×1,000,000

중대재해 선제적 대응

기아는 중대재해 및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각 Autoland별 사고 발생 장소 및 유사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장소를 식별하여 안전 Map을 제작하고, 해당 장소에 대하여 Autoland 안전부문 주관 정기(월 1회) 및 수시점검, 안전환경센터 주관 정기점검(월 1회)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안전환경 부문의 부서장 및 보직과장, 안전담당자가 참여하는 전사 안전조직 정기회의체(월 1회) 운영을 통해 점검 결과와 개선 현황을 확인함과 더불어 각 Autoland별 안전 이슈를 공유하여 타 부문에서도 사전 대응할 수 있도록 원인/해결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중대재해 보고 체계*

경영책임자(CSO)

본사 상황실: 안전환경 센터장
유관부분: 노무지원, 안전협력지원, 노사협력, 법무, 비즈니스지원
Autoland: 상황실

* Autoland 기준

주요 업무

  • 초동대응 - 작업중지, 근로자 대피, 추가 피해방지 조치
  • 사고조사 및 사고보고(대내/외)
  • 환자상태 파악 및 구호조치

중대재해 예방체계 구축

  • 현장 고위험개소 안전 Map
  • Autoland 안전부서 정기/수시 점검
  • 전사 안전조직 정기회의체(결과 관리, 이슈 논의)
  • Autoland 안전부문 주관 정기점검 및 수시점검(월 1회)

* 매뉴얼 상의 조치 상황을 반기 1회 이상 점검